티스토리로 SITEMAP.XML 파일 만들기

반응형


현재 구글의 웹마스터를 이용하고 있다.

구글 웹마스터에서 SITIMAP 을 이용하여 색인으로 등록되는 개수를 알 수 가 있는데 


도메인명에

HTTP://JIYUL.NET/RSS

이처럼 RSS 라는걸 추가해서 확인 할 수 있다.


이 방법 말고 테스트 할 수 있는 방법이 하나 더 있는데 SITEMAP.XML 파일을 링크 걸어서 가능한 것 같다.

홈페이지라면 파일을 올려서 링크를 바로 걸면 되겠지만 블로그라 복잡한 방법이 필요하다. 


처음은 SITEMAP.XML 파일을 만들어야 하는데 

폭풍 검색을 해서 사이트에서 XML 파일을 만들어주는 3곳을 발견 작성해봤지만 500 개? 5000개 였나 그 이상은 작성이 되지 않는다.

그래서 찾아낸 방법이 외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식이다. 


 A1 Sitemap Generator 6  :: 다운받기


이란 프로그램이 있다. 사이트의 주소만 입력해서 XML 파일을 만들어 준다. 

일정 기간은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하고 지워버리면 된다.


프로그램은 설치하는건 기본처럼 NEXT 만 누르면 된다.



대표이미지



XML작성하기


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.




처음실행화면이다.

네모박스에 주소를 입력한다.



주소를 입력하고 Start scan 을 클릭한다.



다음 화면으로 넘어간다. 

사이트를 분석페이지인데 사용하지 않는다.



Crete sitemap 을 클릭한다.

이 곳에서 XML 파일을 만들 수 있다.



Standard XML sitemap file output path 를 클릭한다.

저장위치를 지정한다.


Build now 을 클릭하면 XML 파일이 위치에 생성된다.


이 파일을 이제 구글 웹마스터에 링크만 걸어주면 되는데 한가지 작업이 더 필요하다.


XML 링크걸기



우선은 위에서 만든 XML 파일을 티스토리에 등록해야 한다.




비공개나 서식으로 글을 하나 작성한다.


파일을 등록한다.



위에서 작업한 XML 을 등록한다.





다음과 같이 등록이 되면 HTML 파일로 보기를 클릭한다.





다음과 같이 경로가 출력되는데 네모 박스친 부분을 카피한다.


cfile4.uf@272EE73B54FFC54234655A.xml



SITEMAP 제출하기



구글 웹마스터에 로그인 한다.


구글 웹마스터 홈페이지 :: 이동하기




메뉴중 Sitemaps 를 클릭한다.


오른쪽의 SITEMAP 추가/테스트를 클릭한다.






주소를 입력할때에는 앞에


attachment/


를 추가해야 한다.


다음과 같이


attachment/cfile4.uf@272EE73B54FFC54234655A.xml


제출하고 나면 새로고침을 해주면 된다.



확인





다음과 같이 추가가 된걸 확인한다.

접수중에서 적용이 되는 시간은 1주일 정도는 걸렸던거 같다.



반응형

Designed by JB FACTORY